스피커 성능 측정 보고서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소유자의 재산이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수정 및 배포 또는 상업적 이용을 금지합니다.
* : 별도의 출처가 표기되지 않은

본 게시물은 모 제품의 성능 측정 보고서를 순수하게 교육적 목적으로 다듬어 작성한 것이며, 수입 유통사의 요청으로 제품명을 비공개 처리했습니다.
공익 목적으로 기술적 결함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공유함에 있어, 무분별한 비판이나 특정 업체에 해를 끼치려는 의도가 없음을 명시합니다.
특정 제품의 구성요소와 특성을 설명하는 것은 오로지 교육적 이해를 돕기 위함임을 양해 바랍니다.


1.정면주파수응답 (Frequency Response@freefield)

약 150-500Hz 사이에서 불필요한 선형 왜곡이 일어납니다.
자잘한 딥피크가 그것이며, 출력 크기에 상관없이 모두 일정하게 일어나는 왜곡을 ‘선형 왜곡’ 이라고 부릅니다.
여러분이 알고 계신 음향 장비의 FR 특성이 대부분 선형 왜곡입니다.

(THD 처럼 크기에 따라 다르게 일어나며 예측할 수 없는 왜곡은 ‘비선형 왜곡’이라 부릅니다.)


이 스피커의 TL(Transmission Line)은 TL의 끝이 개방된 일종의 변형 TL디자인으로, 구조적으로 전통적인 베이스 리플렉스 방식의 포트와 그 역할과 기능이 동일합니다.
위 예시 이미지처럼 우퍼 뒷면으로 방사되는 에너지가 인클로져 내부의 접히고 접힌 경로를 지나며 각종 흡음구조와 만나 유해한 고주파 성분은 제어되며 저역 재생의 효율을 얻고자 하는 설계입니다.


하지만 전통적인 포트 디자인에 비해 경로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간섭을 일으킬 수 있을만큼의 유의미한 시간지연이 일어나며, 이 사례의 경우 제대로 제어되지 못한 TL 내부 공명과 고주파 성분으로 인한 노이즈(약 300Hz)를 중심으로 우퍼 드라이버의 담당 대역에서 연속적인 간섭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정면 주파수 응답의 선형왜곡이 부각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Audio Science Review 포럼에서 회원들 간 논의된 내용에 의하면
제조사의 설명처럼 Open-end TL 방식의 사용에서 적절히 튜닝하려면 TL 경로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실제로 제조사가 제공하는 제원상 이 스피커의 Effective TL Length 는 1.8m 인데요, 이에 비해 실측된 저역 응답을 바탕으로는 약 2.45m 길이의 TL 경로가 필요하다는 것이 주로 지적되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TL 덕트를 통해 누출되는 300Hz 부근의 노이즈 성분이 드라이버의 응답 대비 최대 -6dB 수준을 기록하기 때문에 특히 위 이미지처럼 로고 정방향으로 배치했을 때, 선형 왜곡 및 노이즈 누출로 인한 음질의 저하 외에도 청감상 정위감의 간섭이 일어날 여지가 있습니다.

실제로 스피커 한 대만을 이용한 모노 음원 청취시에도 소스가 분리되어 들리는데, TL 덕트(오픈된 방사면)을 통해 나오는 소리와 우퍼의 소리가 타이밍도, 주파수 응답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로 인해 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유닛이 정면에서 재생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1-1.개선방안

TL 또는 포트 내부 경로의 1/2 혹은 1/4 지점에 탭(구멍) 또는 기생관(2nd Tube)과 흡음재 등을 추가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런 2차적인 흡음 또는 통풍 구조를 통해 각종 노이즈를 제어하는 기술은 여러 제조사와 DIY 유저들이 스피커 설계시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스피커처럼 끝이 개방된 TL의 경우 내부 경로에 다양한 밀도를 가진 흡음재를 배치하여 노이즈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품 설계&제조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해 적용해볼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참고 :
http://www.quarter-wave.com/Project13/Part_1_The_Basics.pdf



출처 : AN ELECTROACOUSTIC ANALYSIS OF TRANSMISSION LINE LOUDSPEAKERS  A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Academic Faculty by Robert Allen Robinson, Jr.  /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May 2007 

또한 위 자료를 보면 TL 방식의 특성상 드라이버의 선형 왜곡에 특히 취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TL 경로의 길이와 내부 흡음 구조 및 밀도를 정교하게 설계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AN ELECTROACOUSTIC ANALYSIS OF TRANSMISSION LINE LOUDSPEAKERS  A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Academic Faculty by Robert Allen Robinson, Jr.  /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May 2007 

동일한 연구 내 자료입니다.
TL 경로 내 흡음재 밀도만으로도 응답 변화가 극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TL의 길이와 흡음재의 밀도를 정밀하게 설계하고, 내부 경로의 1/2 혹은 1/4 지점에 흡음재와 탭(구멍) 또는 기생관(2nd Tube)을 혼용해 이를 제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지향성

Farfield Window Gating(5ms@1m) 기법을 이용했기 때문에 200Hz 이하 데이터는 절삭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튜디오 환경에서는 대부분 기준주파수 1kHz 이후의 반사음에 대해 적절한 흡음 처리가 되어있는 점과 가까운 청취거리 세팅을 이용해, 반사음 대비 직접음의 비율을 극도로 높여 스피커의 고르지 못한 방사특성과 그 반사음으로 인한 왜곡을 극복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니어필드 모니터링)

하지만 이 스피커는 수평 형태로 사용시 TL의 응답이 우퍼에 대해 2~300Hz부근부터 시작해 약 7~800Hz까지는 유의미한 누화(Crosstalk, 약 5.5~50.0%)를 일으키며 이는 근거리에서 정면 음상 및 스테레오 공간감에 왜곡과 착색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며 근거리에서 그 영향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

상기 언급한 내용은 원거리 청취시 무시될 수 있지만, 또 이 경우엔 2kHz@30°~40°에서 딥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사음의 영향이 커진 탓에(직접음의 비율이 줄어들기에) 해당 대역을 중심으로 반사음의 토널 밸런스 손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스피커는 세워서 사용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해야합니다.




3.총고조파 왜곡(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측정 데이터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 스피커의 기술적 보완점을 시사합니다. (85dB SPL@1m 측정)


첫 번째, 미드레인지의 3차 하모닉 디스토션입니다.

이 스피커에서 발견된 문제는 고주파 재생시 교류 전류의 빠른 자기장 변화로 인해 인덕턴스(변화에 대한 저항) 성분이 증가하는 것이 원인이며 데이터의 양상을 분석해보았을 때 쇼팅링을 포함한 적절한 설계가 요구됩니다.

스피커 드라이버에서 쇼팅링:shorting ring (또는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을 이용하기 때문에 Faraday cylinder or Faraday ring 이라고도 불림) 은 스피커 드라이버 내부에 위치하며, 전자기적 인덕턴스로 인한 왜곡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어떻게 생긴 부품인지 궁금하신 분은, 구글 검색을 이용해주세요..!)


스피커 드라이버 내에서, 보이스 코일이 전기 신호에 반응하여 움직일 때, 이 움직임은 진동판을 움직여 소리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은 극성이 +/-로 주기적으로 변하는 교류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코일 또한 움직이면서 내부 자기장의 방향이 변하고, 이 자기장의 변화는 코일 내에서 역기전력을 생성하여 인덕턴스를 발생시킵니다.

말이 좀 어려운데요, 정확한 비유는 아니지만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위해 설명하자면.

물 속에 손바닥을 넣고 좌우로 흔들어본다고 상상해봅시다.
느리게 움직일 때는 큰 저항을 받지 않지만, 좌우로 더 빨리 흔들수록(방향이 빨리 바뀔수록) 손바닥에 느껴지는 물의 저항감이 커질 거예요.
이런 변화에 대한 저항이 코일 내에서 일어난다고 할 때, 주파수가 높아진다는 것은 전기 입장에서도 1초에 플러스(+)에서 마이너스(-) 방향으로의 변화가 빠르게 많이 일어난다는 뜻이므로 그만큼 변화에 대한 저항 또한 커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을 ‘인덕턴스’라고 합니다.

이 인덕턴스는 오디오 신호와 같은 교류 신호에 대해 일종의 저항처럼 작용하므로.. 즉, 컴프레션을 유발하며 3차 배음 왜곡을 수반하는 비선형 왜곡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 중요한 것이 쇼팅링의 역할입니다.
이 링은 보이스 코일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단락, 캔슬’시켜, 즉 자기장의 경로를 변경하여 보이스 코일 내에 발생하는 역기전력과 인덕턴스를 줄입니다.
결과적으로, 쇼팅링은 스피커 드라이버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고, 고주파수에서의 응답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유닛의 설계 목적이 다를 수 있지만 체급이 비슷한(같은 6인치입니다.) 다른 유닛 측정 데이터를 겹쳐 비교해보았습니다.
붉은색이 이 스피커의 우퍼 드라이버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이며, 푸른색은 인덕턴스가 훌륭하게 제어된 SB Acoustics의 SB17CAC35-4 라는 유닛입니다.

푸른색 그래프는 고주파수로 가더라도 그 경사가 크게 높아지지 않는데 비해, 붉은색 그래프는 고주파수로 갈수록 경사가 점점 더 급해집니다.
물론 특성이 서로 다른 두 스피커를 동등한 Y축 스케일로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대략 이런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드리기 위함입니다.

즉 붉은색 스피커는 고주파수로 갈수록 ‘변화량에 대한 저항’에 의해 신호가 감쇠되며 이러한 컴프레션은 홀수차 배음 왜곡(특히 3차)으로 나타납니다.

지금까지의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아래 측정 데이터를 보겠습니다.

약 200Hz부터 시작해 우퍼가 담당하는 대부분의 대역에서 일정한 양감과 경사를 가지고 3차 하모닉 디스토션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붉은색)
쇼팅링 설계가 바람직하지 않았을 때 이런 형태가 나타납니다.

요약하자면, 쇼팅링은 스피커 드라이버의 자기장 내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과 인덕턴스를 줄여주어 고주파수에서의 3차 왜곡 같은 비선형 왜곡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스피커는 쇼팅링이 없거나, 그 설계가 적절치 않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이로 인한 왜곡은 ‘디스토션’이라는 이름에서부터 느껴지는 것처럼 청감상 지저분하거나 더럽게 들리기 보다는, 국소적인 공진 등에 의한 왜곡과는 달리 넓은 대역에 걸쳐 음색의 화려한 착색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소스를 투명하게 전달해야 하는 모니터링 스피커에게 기대되는 이상적인 특성은 아닙니다.



두 번째, 저역대 넓은 영역에서 2차 하모닉 디스토션이 강조됩니다.

이는 우퍼가 앞 뒤 비대칭으로 운동함을 의미합니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이 스피커의 경우 보이스 코일과 자석의 힘을 나타내는 Bl(Force Factor)의 비대칭이 주 원인입니다.

스피커 드라이버 운동의 원천은 보이스코일과 자석으로 이뤄진 자계의 힘입니다. 그리고 이 힘은 스피커가 앞 뒤로 운동하며 변화하는 보이스코일의 위치로 인해 함께 변화합니다.

아래 그림을 한 번 보겠습니다.

출처 : Klippel.de

코일이 앞(+), 뒤(-)로 움직일 때 B-field 라고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스피커 안쪽으로 들어갔을 때와 바깥쪽으로 나왔을 때 스피커의 힘이 실시간으로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이상적인 스피커라면 모든 변위에서 힘이 동일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 여러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성능과 설계 및 제조 비용을 두고 타협을 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대 출력 범위 내의 완만한 컴프레션과 대칭성은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면 이런 성능도 측정으로 알 수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먼저 설명을 위한 예시 데이터를 보고 시작합시다.

X축은 Displacement(mm) 변위를 나타내며 + 또는 -로 움직였을 때 실시간으로 변하는 스피커의 힘은 Y축 값으로 나타납니다.
예시 스피커야말로 앞서 설명드린 ‘이상적인’ 스피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 사용범위 대부분에서 힘이 일정하며, 어디 한 쪽으로 쏠리거나 감쇠되는 것 없이 아주 강력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4mm 안쪽으로 들어갔을 때에도, 그만큼 앞으로 튀어 나왔을 때에도 힘이 거의 동일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제품의 유닛은 특성이
불안정했습니다.
우퍼는 정지 상태가 아니라 약 -2mm 지점에서 Bl(x), 힘의 최고점을 달성하며 이를 중심으로 점점 힘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고 있습니다.

비대칭성을 보다 확실히 관찰할 수 있는 플롯으로 다시 한 번 살펴보면, 힘의 최고점 뿐만 아니라 대칭의 중심점 또한 2mm 밀려나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유닛의 경우 자계 설계는 훌륭했지만, 결과적으로 코일이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2mm 벗어난 위치에 접착되었기 때문에, 앞/뒤로 움직이는 힘 자체가 비대칭적이고 이로 인해 저주파수에서 체급에 비해 높은 2차 하모닉 디스토션이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단일 샘플의 불량이나 편차일 수도 있기에, 1조를 모두 측정해보았습니다.

그러나 두 유닛 모두 비슷한 정도의 코일 오프셋이 존재했습니다.



3-1.개선방안

Bl(x)커브의 형상과 대칭 범위 플롯을 고려할 때 코일과 영구자석, 폴 피스, 폴 플레이트로 이뤄진 자계회로의 설계는 우수해보입니다.
완만한 감쇠(컴프레션)와 함께 중심점만 이동된다면 대칭성 또한 훌륭하기 때문에 큰 출력과 변위에서도 충실한 재생을 보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이를 위해선 보이스코일의 접합 높이를 2mm 수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그리고 적절한 쇼팅링 설계를 권장합니다.

“그런데.. 쇼팅링, 그 영향이 과연 중역대의 광범위한 3차 디스토션으로 끝일까요?”

좀 더 알아봅시다.



4.쇼팅링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쇼팅링은 고품질 재생을 목표로하는 스피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앞서 이 스피커의 우퍼 드라이버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와 타 유닛을 비교해보며, 우퍼의 공진 주파수 이후 인덕턴스로 인한 저항이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함께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고 그로 인한 3차 왜곡을 데이터로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쇼팅링의 역할 부재에 의한 왜곡은 주파수의 증가와 함께 분명 서서히 증가한다고 했는데, 갑자기 1~2kHz 사이에 뾰족하게 솟은 피크가 있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단일 유닛의 FR 특성을 살펴보아야합니다.


붉은색의 3차 디스토션 SPL 측정 그래프를 정확하게 3배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면(3차이므로), 약 5kHz 부근, 유닛 진동판의 분할진동으로 인한 피크가 존재했고 이것과 모양이 거의 겹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우퍼 입장에서 고주파수로 갈수록 저항이 증가하여 컴프레션을 동반한 3차 하모닉 디스토션의 증가를 일으키고, 최종적으로 드라이버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 반영되어 약 1.3kHz 주변에서 가장 큰 피크를 띄는 형태로 측정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보았던 THD % 데이터의 뾰족한 피크는  공진이나 지저분한 기타 왜곡이 아니라 쇼팅링 역할의 부재로 인한 광대역 컴프레션과 드라이버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 합성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쇼팅링의 부재로 인한 또다른 문제. (THD 측정으로는 알 수 없음)

실제 음악 재생에서는 또 다른 문제가 존재합니다.
THD는 스피커가 단일 주파수를 재생할 때의 특성만을 보여줄 수 있으며 음악이나 영화와 같이 실제 재생 환경을 모두 반영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음악 신호의 재생을 위해서 스피커 드라이버는 저음과 고음을 동시에 재생하고, 이것은 고음의 입장에선 저음 재생을 위한 우퍼의 큰 운동으로 인해 그 상태가 쉼없이 변함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가장 치명적인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쇼팅링 역할의 부재에 의한 상호변조왜곡(IMD)입니다

출처 : Klippel.de

보이스코일은 운동하며 실시간으로 위치와 상태 변화를 경험하는데 이때 폴피스 아래로 이동할 때와 바깥쪽으로 이동해 공기중에 위치할 때의 특성이 많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이 특성 변화를 제어해주는 것이 바로 쇼팅링의 역할입니다.

만약 이 변위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를 훌륭하게 제어한다면 아래에 소개된 모 드라이버와 같이 변위(X축, mm)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가 최소화되며 대칭적인 형태로 측정될 것입니다.

변위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가 거의 무의미한 수준으로, 아주 깔끔한 성능을 보여주는 유닛의 예시입니다.




하지만 이 스피커의 드라이버는 인덕턴스의 비대칭이 확연히 관찰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음악 신호처럼 저음과 고음이 동시에 재생되는 경우 앞서 설명드린 3차 하모닉 디스토션과 함께 저음과 고음의 상호변조왜곡(IMD)를 만들어내는 주 원인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결과적으로 미드레인지를 중심으로 고역대까지 음색의 화려한 착색을 만들어냅니다.

조금 들어가봅시다.

이렇게 변위에 의해 비대칭적인 인덕턴스를 가지게 될 때 어떤 일이 일어날 지 상상해봅시다.

스피커가 저음 재생을 위해 앞뒤로 2mm씩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해보면, 가장 많이 나왔을 때엔 A특성, 가장 많이 들어갔을 땐 B특성을 띄게 되어.. 결론적으로 이 스피커는 실시간으로 고음 특성이 변하게 됩니다.

즉 정지 상태에서 고음을 내는 것과, 움직이면서 고음을 내는 것 사이의 성능 차이가 발생하고.. 이론적으로는 저음 재생과 고음 재생간 상호적인 간섭이 없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이 스피커는 그런 현상이 적극적으로 일어납니다.


그리고 그런 결함은 멀티톤 테스트와 같은 다중 주파수 출력 상황에서 상호변조왜곡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게됩니다.

음악 제작을 업으로 하시는 분들께 좀 더 와닿을 수 있게 표현을 빌려와보자면, 베이스 or 킥이 재생되는 타이밍에 맞춰 보컬의 배음 성분과 하이햇 등 고음 소스들의 음색이 왜곡된다는 말입니다.



4-1.개선방안

결국 쇼팅링의 설계가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또는 3way로 다중 유닛을 구성해, 우퍼가 담당하던 고음역대를 미드레인지가 담당하게 만들어주는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5.결론

무향실 정면 주파수 응답상 500Hz 이하에서 난잡한 선형왜곡(FR)이 일어나며 이는 TL 구조와 덕트의 영향이므로 내부 구조 개선을 통해 TL 노이즈를 제어할 필요가 있습니다.

약 3~4kHz 부근을 중심으로 광대역의 얕은 딥이 존재하지만 지향성을 고려했을 때(수직 모드 기준) 이는 원거리에서 실내 잔향 응답과의 보상을 통해 최종적인 토널 밸런스를 평탄하게 만드는 데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 이유와 더불어 앞서 언급한 TL 이슈로 인해, 정확한 모니터링을 위한 근거리 청취는 권장하기 어렵습니다. 스피커 한 통을 수평 모드로 두고 음악을 청취했을 때 모노임에도 불구하고 소스의 분리도가 선명하게 느껴지는 것이 바로 이것 때문으로 보입니다.

트위터의 고출력 품질은 매우 뛰어난 것으로 보이기에 이 스피커의 아킬레스건은 TL 설계와 함께 우퍼 드라이버의 만듬새입니다. 가장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사항은 보이스코일의 높이를 2mm 정도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공진주파수(Fs)를 중심으로 저역대 전반에 걸쳐 유닛을 비대칭으로 운동시키는 원인이 되며, 베이스 성분의 순간적인 고출력 피크에 컴프레션을 걸리게 만드는 부가적인 원인이 됩니다.

또한 거듭 강조한 바와 같이 쇼팅링의 적절한 투입이 필요합니다. 쇼팅링 역할의 부재로 인해 이 스피커는 음악과 같은 전대역 동시 재생 환경에서 복잡한 비선형 왜곡을 다량으로 만들어내며 결과적으로 음색을 화려하게 착색시키는데, 이러한 특성은 소비자가 스튜디오 모니터링 스피커에게 기대하는 투명한 성능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개인적인 견해를 남겨보자면 이 제품의 상위 모델(3way)을 먼저 설계하고 이후 저예산 소비자들을 위해 비교적 저렴한 현 모델을 개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TL의 이슈는 상위모델에서 현 모델로 체급을 낮추는 과정에서 내부 구조와 TL 용적이 변경될 여지가 충분히 존재하며, 더불어 상위모델은 미드레인지 유닛의 추가로 우퍼와 TL에선 더이상 미드레인지를 재생하지 않게 되니, 줄곧 언급한 TL 에러의 상당 부분이 개선되니 정면 음상 교란과 노이즈, 선형왜곡 등의 에러가 다소 감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제조사가 2way 북쉘프 스피커를 정식으로 설계하며 쇼팅링을 의도적으로 놓쳤을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반대로 생각해보면 KEF의 Reference, R 시리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드라이버와 스피커 성능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교한 3way 설계시 우퍼 입장에서의 고음역대는 미드레인지 드라이버가 담당하게 되므로 쇼팅링의 필요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위 언급한 요소를 바탕으로 볼 때, 이 제품은 상위 모델의 설계를 그대로 내려받았으나, 기존 설계시 각 구성요소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여러 장치 중 가장 핵심적인 ‘미드레인지 유닛’의 부재로 인해 그 구조적 단점이 크게 부각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론, 보이스코일의 접합 위치로 인한 저음 비대칭성은 동일한 유닛을 사용했다는 전제하에 상위 모델 또한 갖고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이 개선된다면 더욱 강력하고 깨끗한 퍼포먼스를 내어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액수에 관계 없이 측정 리뷰 및 웹사이트 운영에 큰 힘이됩니다.
웹사이트 유지를 위해 패트리온과 페이팔을 이용한 후원 방식을 고민해보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조금 불편하시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 부탁드립니다.)
위 QR 코드를 통해 카카오페이로 Audio-re 를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카오페이 특성상 입금자명을 제외하곤 드러나는 정보가 없어, 익명을 고집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감사 인사를 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후원 후 제가 감사 인사를 드릴 수 있게 Kakao ID : seyun0915 또는
메일 주소 tpdus0915@naver.com 으로 연락 남겨주시면, 꼭 인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스피커 성능 측정 보고서”에 대한 7개의 생각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