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ping MA4 리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소유자의 재산이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수정 및 배포 또는 상업적 이용을 금지합니다.
* : 별도의 출처가 표기되지 않은

앰프, DAC 등 음향기기의 명가 Topping에서 드디어 스피커를 만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최신 음향 트렌드에 아주 강한 제조사라고 생각하기에 기대가 컸습니다.
특히 소형 공간에서는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뎁스를 길게 설계했는데요, 아마 포트 튜닝을 위한 목적으로 보입니다.
정면 주파수 응답

전반적으로 평탄한 밸런스를 갖고 있습니다.
4인치급 스피커 치고 상당히 낮은 저역 하한을 갖고 있습니다. 약 48.9Hz (-6dB) 까지 떨어지며, 32dB/oct 의 경사를 갖고 있습니다.
스피커의 뎁스가 길어진만큼 저역 퍼포먼스가 강력해주길 기대해봅니다.
근접 측정

어찌보면 가장 인상적인 것 중 하나가 포트입니다.
포트노이즈가 아주 잘 제어되었고, 따라서 어디에서도 두드러지지 않습니다.
우퍼 응답도 매우 깔끔합니다. 좋네요!!
CEA-2034(Spinorama)

아주 부드럽게 우상향하는 지향지수(DI)가 가장 인상적입니다.
지향성


좁고 균일하게 감쇠되는 방사특성을 보여줍니다.
역시 Topping은 잘 해낼 줄 알았습니다.


수직지향성 또한 잘 제어되어있습니다.
트위터의 웨이브가이드 하단을 조금 깎아내면서까지 우퍼와의 물리적 거리를 좁혀버린 정성이, 빛을 발합니다.
지향각

약 2kHz부터 초고역대까지 아주 균일하게 좁아지는 형태의 지향각을 갖고 있습니다.

폴라 플롯

폴라 플롯으로 살펴보니 방사특성이 더욱 와닿습니다.
초고역대인 10kHz 밴드를 제외하면 +/- 30도까지 거의 균일한 에너지를 방사하고 있습니다.

수직 지향성에서도 전방 주요 각도에 잘 모여있습니다.
THD




제법 흥미로운 양상입니다.
우퍼가 담당하는 대부분의 대역에서 2차 하모닉스가 발생하며, 이는 스피커의 가격대와 드라이버의 품질간 관계를 생각하면 충분히 납득 가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저역에서도 체급 대비 제법 낮은 수준의 THD를 유지했습니다.



트위터 쪽이 아주 강력해보입니다. 트위터는 우퍼에 비해 충분히 여유가 있는 것 같습니다.
멀티톤 테스트


작은 직경으로 저음까지 잘 내어주면서 상호변조왜곡(IMD)까지 훌륭하길 바란다면, 너무 욕심이겠죠.
트위터는 인상적이지만, 우퍼 품질은 아직 나아갈 길이 남은 느낌입니다.

저역을 제한하고 다시 테스트했지만, 전체적인 양상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별다른 특이사항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컴프레션 테스트

측정된 값이 기존 데이터 축(+/- 3dB)을 벗어났기에, 다시 재조정했습니다.

우퍼의 성능은 가격대비 납득이 갑니다. 그리고 트위터가 매우 강력해보입니다.
샘플간 편차

샘플간 편차는 무난해보였습니다.
특히 스피커 양산품 제조가 처음인 제조사임을 감안하면, 꽤 괜찮은 성적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훌륭한 가성비를 보여주며 DAC, 파워앰프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던 Topping이 스피커를 만들었다고 해서, 저도 굉장히 기대가 컸습니다.
역시나 소비자 환경과 타협하기 보다는 성능을 위주로 설계한 모습이 돋보였으며, 스피커 시장에 건강한 다양성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아주 좋은 징조라고 생각합니다.
좁고 균일하게 제어된 방사특성과 부드러운 밸런스, 깊은 베이스는 가격대를 고려하면 더욱 매력적으로 와닿습니다.
본격적으로 CEA-2034 표준을 바탕으로 다듬은 스피커라는 것이 드러나기 때문에 더욱 호감이 생깁니다.
하지만, 테스트 당시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100Hz 이하 저역대를 재생할 때, 전형적인 공기 누출 노이즈가 들렸습니다.
이런 공기 누출음은 무작위 노이즈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THD 측정 등으로 알아내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귀에는 쉽게 가청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문제를 정확히 보고하기 위해서 누출이 일어나는 위치를 파악했고, 해당 위치에 얇은 티슈를 올려두어 공기 누출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후면 스위치박스쪽에서 누출이 발생했습니다.
제품 소유주의 허락을 받아 샘플을 분해했을때, 리키지에 대한 제조사의 대응책이 발견되긴 했습니다.
하지만 포트 공진주파수를 중심으로 스피커 인클로져 내부에 강한 공기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것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Topping도 이 문제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을 알고는 있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품 대량 생산 과정에서 추가비용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합리적인 비용과 절차로 이를 해결해 나간다면 더 좋겠습니다.
자사 파워앰프 제품 PA5 의 경우 처럼, 또 영리하게 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봅니다. Topping 이니까요!
이상입니다.

☕ Support my work — one coffee at a time
(Tap to buy me a coffee)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액수에 관계 없이 측정 리뷰 및 웹사이트 운영에 큰 힘이됩니다.
웹사이트 유지를 위해 패트리온과 페이팔을 이용한 후원 방식을 고민해보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조금 불편하시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 부탁드립니다.)
위 QR 코드를 통해 카카오페이로 Audio-re 를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카오페이 특성상 입금자명을 제외하곤 드러나는 정보가 없어, 익명을 고집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감사 인사를 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후원 후 제가 감사 인사를 드릴 수 있게 Kakao ID : seyun0915 또는
메일 주소 tpdus0915@naver.com 으로 연락 남겨주시면, 꼭 인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오 관심있던 제품인데 감사합니다.
결과가 아주 인상적이군요
포트가 pmc처럼 트랜스미션라인 방식인가요?
저역하한이 아주 인상적입니다
토핑은 역시…ㅎㅎ
저 공기누출은 분해후 eva 테이프를
재부착하거나 하면 해결이 되려나요?
아 좀 찾아보니 ㅠ 스위치 구멍에서 발생하는거군요 ㅠ
뜯어서 스위치 후면을 글루건이나 실리콘으로 밀봉하거나 해야겠네요 ㅠ 개선판은 그냥 디지털버튼 등으로 대체되면 좋겠습니다 ㅠ
그리고 포트가 트랜스미션라인은 아니네요 ㅎㅎ
좀 찾아보고 댓글달걸 그랬습니다ㅎㅎ
스위치박스 내부는 EVA 폼으로 4면 격벽 처리 되어있었습니다.
아마 이 EVA 폼 자체가 인클로져 내부 고압 환경에서까지 공기 누출을 막아내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ASR에 해당 사진을 올려두었으니 확인해보시면, 개선 작업을 계획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audiosciencereview.com/forum/index.php?threads/topping-ma4-review.64592/post-2369591
성격이 많이 다르긴한데 이 스피커랑 비슷한 시기에 나온 Fiio SA1 스피커 고민하다가 피오쪽으로 갔는데, fiio sa1 리뷰도 가능할까요? 수입사가 아는 사람은 다 아시는 압구정로데오 유명 매장이고, 가격도 이쪽 취미 치고는 저렴해서 궁금하네요
측정 의뢰가 들어온다면 기꺼이 리뷰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