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iplus MI3 II 리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소유자의 재산이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수정 및 배포 또는 상업적 이용을 금지합니다.
* : 별도의 출처가 표기되지 않은

모 프로작곡가의 유튜브 채널에서 극찬했던 미디플러스, 이번엔 3인치 제품입니다.
바로 살펴봅시다!
정면 주파수 응답

저는 리뷰에서 제품의 저역 하한을 제공할 때 100Hz ~ 10kHz 응답의 평균 레벨을 기준으로 -6dB 까지 감쇠되는 주파수를 측정 프로그램으로 계산해 표기해왔는데요,
이번 제품의 경우 주파수 응답 자체가 워낙 구부러져 있어 계산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 했습니다.
따라서 저역 하한과 감쇠 슬로프는 제공하지 못 해 죄송합니다.
좀 더 자세히 봅시다.
90Hz를 중심으로 저역 응답이 푹 파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평소 일반적인 스피커 측정시 1kHz에서 85dB SPL 출력을 기준으로 레벨을 세팅한 뒤 측정을 실시합니다.
하지만 이 제품은 85dB에서는 저역 응답이 완전히 망가진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판단, 10dB나 낮추어서 75dB SPL로 세팅하고 측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저역에서 저런 일이 일어났습니다.
이런 경우는 포트 설계가 잘못되었기 때문인데요, 베이스 응답에 대한 과한 욕심으로 인해 포트 내부의 유속에 한계가 찾아온 결과입니다.
즉, FR만 보아도 컴프레션에 의한 매우 높은 3차 하모닉 디스토션이 지배적일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2kHz 부근에는 전형적인 에러로 보이는 딥이 나타났습니다.
이런 경우는 우퍼와 트위터의 개별 응답에 이상이 없다면, 드라이버의 극성(+/-)을 반대로 조립해서 일어났을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세상에..
제조사 공식 데이터

이는 제조사인 미디플러스측에서 제공하는 FR 응답입니다.
(출처 : https://m-web-file.midiplus.com/upload/chinese/MI_series_ins.pdf?Expires=1755394458&OSSAccessKeyId=LTAI5tKgL1P1zXigmFv6skmP&Signature=rrsLAuyiX33Ey6fJ7NBsAEdux2s%3D )
실제 측정값과 달라도 너무 다른 모습입니다. 제조사 데이터만 보면 y축 스케일이 비교적 압축되어 있긴 하지만 제법 평탄해보이는 모습인데요,
개인 소비자로서 이런 제조사라면 앞으로의 제품도 믿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근접 측정

역시나 정면 FR에서 예상했던 것들이 맞았습니다.
포트 컴프레션을 더불어, 다듬어지지 못한 포트 노이즈, 누락된 크로스오버, 잘못 조립된 유닛 극성까지. 뭐 하나 놓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충격입니다.
CEA-2034

딱히 언급할만한 내용이 없습니다.
앞선 데이터들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스피커의 기본기라고 부를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향성

뒤집어진 극성으로 인해 2kHz 부근에서 강한 위상 캔슬을 일으키며, 지향성의 허리가 완전히 잘려나간 모습입니다.



덕분에 어떤 기능을 보여줄지 예상하기 어려운 수직지향성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라인차트

잘못 조립된 유닛으로 인한 2kHz딥은 적어도 좌우 60도까지 어느 각도에서도 ‘들을 수 없는’ 응답이 되어버렸습니다. 약 10dB의 깊고 넓은 딥이 생겨버렸으니까요.
이런 특성은 정면을 비롯해, 측면 반사음까지도 영향을 주게됩니다.

지향각



제품 성능이라는 말로 서술할 수 있는 지향성의 형태가 아니었습니다.
일단 이 제품은 지향성 관련해서는 더이상 말을 아껴야겠습니다.
폴라 플롯


THD


1.예상했던 대로 저역대에서 높은 3차 하모닉 디스토션이 지배적으로 관찰되었습니다.
2.제가 평소 첨부하던 EHID(%) 플롯은, 지나치게 높은 이 스피커의 선형왜곡 관계로 생략되었습니다.(EHID 플롯은 측정 대역의 주파수 응답이 어느정도 플랫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그보다도 좀 눈여겨 볼 수 있는 이슈가 있었는데요, 아래에서 살펴봅시다.

빨간색 그래프는 근접 측정한 트위터의 응답입니다.
약 1.5kHz 부근에 봉긋 솟아오른 빨간색 지점은 트위터 유닛 공진점으로 추측됩니다.
드라이버는 공진점에서 가장 크고 빠르게 진동합니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는 주파수입니다.
따라서 트위터의 경우 이 공진점에서 크게 반응하지 못 하도록 크로스오버 필터를 통해 제어해주는 것이, 스피커의 재생 품질을 떠나 기계적 내구성 측면에서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이 제품은 트위터의 공진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고, 그 증거로 트위터의 공진주파수와 짝수차 하모닉 디스토션의 대역이 정확히 겹쳤습니다.
(짝수차 하모닉 디스토션은 비대칭적 운동을 시사합니다.)
트위터 쪽에 최소한의 하이패스필터라도 적용해서 보호를 해줬다면 어떨까 싶습니다.


멀티톤 테스트


평소 다른 스피커들을 측정하던 85dB SPL@1m 출력은 이 스피커에게 너무 가혹할 수 있어서, 75dB SPL@1m로 우선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스피커 소유주의 허락하에 85dB SPL@1m 측정도 실시했습니다.

과도하게 부스트된 저역 때문일까요, 전대역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멀티톤 디스토션이 관찰되었습니다.
(참고로, -20dB를 %로 환산하면 10%이며, -10dB는 약 31%입니다.)
80Hz~

애초에 100Hz 주변에서 크게 부스트되어 있었기 때문에, 저역을 80Hz에서 잘라내고 측정하더라도 디스토션은 전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샘플간 편차

평소 제공하던 ±3dB 폭을 뛰어넘는 편차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Y축을 확장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편차는 2kHz에서 가장 두드러지지만, 약 8kHz까지도 1dB의 편차가 발견되었습니다.
이정도로 품질편차가 큰 제품이라면, 다른 제품에서도 어떤 편차를 보여줄지 장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제가 측정한 두 샘플을 기준으로만 살펴보았을때, 중고역대 전체가 한 쪽으로 편향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마치며,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동사의 제품 MI5 II 리뷰( https://audiore.kr/midiplus-mi5-ii-%eb%a6%ac%eb%b7%b0/ )에서 했던 말을 되풀이하게 되는 것에 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 제품을 가장 열심히 홍보했던 모 프로작곡가 유튜버는 해명 영상에서조차 스피커를 수치로만 판단하면 안 된다는 뉘앙스로 제품에 대한 변명을 이어나갔습니다.
물론 아직은 “수치로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습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현재의 CEA-2034 표준 측정방식만으로는 밝혀내기 어려운 인간의 인지적 특성 때문이지, 객관적인 계측을 부정하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누락된 크로스오버로 인한 지향성 에러는 둘째 치고, 트위터의 내구성에 대한 염려.
그리고 체급에 비해 과장된 베이스 응답과, 그를 감당해내지 못하는 포트 및 유닛 설계.
심지어 극성 반전된 조립 현상이 스피커 샘플 한 대에서만 나타났었다면, 제품 조립 공정에서 누군가 실수를 했을 거라고 생각해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두 샘플 모두 동일한 증상이 발견되었습니다.(샘플간 편차 그래프 참고)
이 모든것들을 참고했을 때 저는 이 제품을 작업용으로 광고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스피커로서 갖춰야 할 여러 기본기가 누락되어 있다는 점을 가볍게 받아들이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제조사부터 작업용 스피커로 분류해 판매하고 있고, 유명인의 영향력을 통해 소비자 다수가 이를 작업용으로 충분한 스피커로 받아들이고 있다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여느때와 마찬가지로 여러분께 스피커 데이터를 공유하며, 이 스피커의 실수들을 위주로 설명하게 되었습니다.
리뷰로 인해 불편을 느끼신 분이 계신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 Support my work — one coffee at a time
(Tap to buy me a coffee)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액수에 관계 없이 측정 리뷰 및 웹사이트 운영에 큰 힘이됩니다.
웹사이트 유지를 위해 패트리온과 페이팔을 이용한 후원 방식을 고민해보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조금 불편하시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 부탁드립니다.)
위 QR 코드를 통해 카카오페이로 Audio-re 를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카오페이 특성상 입금자명을 제외하곤 드러나는 정보가 없어, 익명을 고집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감사 인사를 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후원 후 제가 감사 인사를 드릴 수 있게 Kakao ID : seyun0915 또는
메일 주소 tpdus0915@naver.com 으로 연락 남겨주시면, 꼭 인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칭 모니터링 스피커에서 저런 각종 에러들과 멀티톤은 처음보네요. 어떻게 저따구로 만들었는지 감탄만 나올 수준입니다
혹시 미디플러스 ms5 v2나 ms6 v2 리뷰도 진행될까요?
아직 계획은 없습니다. 제품 측정 의뢰가 들어온다면 가능하나, 리뷰 대기중인 제품들이 조금 밀려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