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K Rokit 5 G5 리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소유자의 재산이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수정 및 배포 또는 상업적 이용을 금지합니다.
* : 별도의 출처가 표기되지 않은


벌써 5세대였군요. KRK의 Rokit 시리즈 5인치 제품입니다.
포트 디자인이 인상적인 액티브 모니터 스피커입니다.
스피커에 내장된 DSP EQ를 사용자가 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살펴봅시다!
정면 주파수 응답

전반적으로 평탄한 밸런스입니다. 좋습니다.
저역은 아주 부드럽게 떨어지며, 약 54.1Hz (-6dB)의 하한을 가집니다.
근접 측정

각 구성요소들 응답 또한 무난합니다.
우퍼쪽 응답 상단은 매우 완만한 경사로 떨어집니다. 이래서는 크로스오버 필터를 적용한건지, 우퍼 분할진동 파트만 노치 필터를 적용한건지 애매합니다.
분해가 가능했다면 좀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했겠지만, 확인할 수 없으니 넘어가겠습니다.
그리고 약 160~170Hz 부근에 얕은 딥이 존재합니다.
사실 다이나믹 스피커 드라이버는 자연적으로 저런 응답이 나타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제조사가 튜닝을 해둔 흔적일텐데, 의도를 모르겠습니다.
물론 스피커 성능에 어떤 지대한 영향이 있을 정도도, 그럴 주파수 대역도 아니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아주 주관적인 튜닝이 들어갔을 것으로 보입니다.
CEA-2034

정면 응답은 밸런스가 제법 평탄했지만, 약 2kHz 이후 지향성이 확연히 넓어집니다.
(DI값이 낮을수록 지향성이 넓은 것을 의미합니다.)
지향성


수평지향성은 예상한대로, 트위터 웨이브가이드가 없는 스피커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진동판 면적 대비 주파수가 점점 높아질수록 지향성이 좁아지는 우퍼와 달리, 트위터는 크로스오버 포인트 근처에서 여전히 면적 대비 저음을 내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향성의 불일치가 나타났습니다.


수직지향성은 크로스오버 부근에서 발생하는 로빙에러를 제외하고도, 주로 스피커 하방에서 자잘한 에러가 발견되었는데요,
아마도 우퍼 고주파수 대역이 덜 감쇠되어서 그런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Line Chart
.png)
구독자의 요청으로 이번에 새로 추가해본 라인차트 입니다.
수평, 수직면에서 각도별 주파수 응답을 살펴볼 수 있는 플롯입니다.
여러분의 적응을 위해 좀 더 설명해보자면, 앞서 컨투어 플롯에서 중고주파수 대역의 지향성이 넓었던 것이 기억 나실 거예요.
바로 위 데이터에서도 0~10도를 제외한 나머지 20~60도 응답 전체에서 3~6kHz 사이가 강조된 것이 보입니다.
즉, 이 스피커는 20~60도까지도 다른 대역에 비해 중고주파 대역을 강하게 방사하고 있습니다.
.png)
지향각

웨이브가이드의 부재로 인한 지향성의 불일치, 덕분에 약 5kHz까지도 80도까지 뻗는 모습입니다.

수직 지향성도 크로스오버 포인트에서 불일치가 돋보입니다.
폴라 플롯

500Hz, 1kHz, 2kHz까지 단계적으로 감쇠되다 파란색인 5kHz에서 갑작스럽게 확 넓어지는 방사패턴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다시, 초고역대에선 좁아집니다.

THD



오, 꽤나 준수합니다. 우선 전대역에서 1%미만으로 골인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약 100Hz를 기점으로 그 아래에는 3차 하모닉 성분이, 그 위는 2차 하모닉 성분이 지배적입니다.



기대한 만큼 강력하진 않습니다.
멀티톤 테스트


중저역에선 꽤 괜찮을 뻔 했는데, 완만한 우퍼 고주파 대역 감쇠와 함께 왜곡이 두드러지는 구간이 있습니다.
우퍼가 담당하는 대부분의 대역에서 비대칭에 의한 짝수차 디스토션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상호변조왜곡(IMD) 또한 잘 방어해내길 기대하긴 어려웠습니다.

저역 재생을 제한했지만, 유감스럽게도 멀티톤 디스토션 자체가 유의미하게 줄어들진 않았습니다.
우퍼가 꽤 넓은 대역에서 비선형적인 운동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고출력 성능이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괜찮습니다.
설명을 덧붙이자면, 96dB SPL 재생시 발생하는 멀티톤 디스토션 레벨이, 76dB SPL@1m의 기본음 측정레벨까지 도달합니다.
저역 대역폭에서 큰 무리를 하지 않았음에도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역시, 우퍼 유닛의 품질 영향이 가장 클 것이라 생각합니다.

컴프레션 테스트

86dB까지는 잘 버텼지만, 96dB에서 컴프레션이 확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76 -> 96 dB 구간에서 1dB라니, 모니터링 스피커로써는 아쉽게 느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샘플간 편차

소폭의 유닛간 감도 편차 외에는 좋습니다.
마치며,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이 Rokit G5 시리즈를 동급중 가장 최첨단 스튜디오 스피커, “THE MOST ADVANCED PROFESSIONAL MONITORS IN THEIR CLASS” 라고 설명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Class, 동급이라는 표현이 가격대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꽤 합리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섬세한 지향성 제어, 강력한 드라이버 성능 등을 갖추고 있진 않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평탄한 정면 밸런스, 무난하게 부드러운 리스닝 윈도우 응답, 훌륭하진 않지만 크게 모나지 않은 드라이버 성능, 내장 DSP를 통한 튜닝 잠재력 등을 고려했을 때 현재 1조 인터넷 최저가인 598,000원이라면(2025.08.14 기준), 흡음 위주로 처리된 공간에서 니어필드 모니터로 충분히 써볼만한 제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상입니다.

☕ Support my work — one coffee at a time
(Tap to buy me a coffee)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액수에 관계 없이 측정 리뷰 및 웹사이트 운영에 큰 힘이됩니다.
웹사이트 유지를 위해 패트리온과 페이팔을 이용한 후원 방식을 고민해보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조금 불편하시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 부탁드립니다.)
위 QR 코드를 통해 카카오페이로 Audio-re 를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카오페이 특성상 입금자명을 제외하곤 드러나는 정보가 없어, 익명을 고집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감사 인사를 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후원 후 제가 감사 인사를 드릴 수 있게 Kakao ID : seyun0915 또는
메일 주소 tpdus0915@naver.com 으로 연락 남겨주시면, 꼭 인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