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F Blade Two Meta 리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소유자의 재산이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수정 및 배포 또는 상업적 이용을 금지합니다.
* : 별도의 출처가 표기되지 않은

KEF의 하이엔드 스피커, Blade Two Meta 입니다.
워낙 고가의 제품인데다, 만만찮은 무게 그리고 다루기 어려운 형상으로 인해 샘플간 편차&수직지향성은 측정하지 못 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임피던스


정면 주파수 응답

전대역에서 매우 평탄한 밸런스를 보여주며, 저역 하한은 약 33.6 Hz (-6dB) 입니다.
저역 슬로프가 꽤 급격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대역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근접 측정

아주 많은 요소가 합쳐져서 하나의 작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포트는 파이프노이즈 자체가 보이지 않고, 우퍼들 또한 극도로 깔끔한 응답을 보여주었습니다.
지향성


어마무시합니다.
지향성 제어는 역시, KEF입니다.
그저 아름답습니다.

지향각을 살펴보면 약 800Hz부터 아주 부드럽게 그 경향성을 유지하며 감쇠되는 모양새입니다.
폴라 플롯

제품의 디자인과 측정 방식의 한계(Time-Window 기법)로 인해 정면에서의 200Hz 응답(검은색)에선 에러가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그를 제외하고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면

1kHz부터 초고역대까지 방사특성이 거의 하나의 원을 이루며 수렴하고 있습니다. 아름답습니다.
THD



약 50Hz대역까지도 0.5%대에서 놀고 있는 놀라운 모습입니다.
50Hz…..



96dB SPL@1m 의 출력에도 극저음 대역에서 품질이 이렇게까지 깨끗하게 유지된다는 게 놀랍습니다. 대단합니다!
멀티톤 테스트


정말로, ‘체급’이란 무엇인지 위력을 제대로 과시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저역 재생 대역을 제한하면 더 무시무시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출력별 멀티톤 테스트


애초에 왜곡이 지나치게 낮아서인지, 출력을 높여도 왜곡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대단합니다.
컴프레션 테스트

제가 측정한 전대역에서 에러에 가까운 컴프레션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굉장히 강력합니다.
마치며,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아름다운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 둘 중 어느 것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상식적인 사이즈의 실내 청취 공간이라면, 그 어디에 가져다 놓더라도 충분한 성능을 보여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상입니다.

☕ Support my work — one coffee at a time
(Tap to buy me a coffee)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액수에 관계 없이 측정 리뷰 및 웹사이트 운영에 큰 힘이됩니다.
웹사이트 유지를 위해 패트리온과 페이팔을 이용한 후원 방식을 고민해보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조금 불편하시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 부탁드립니다.)
위 QR 코드를 통해 카카오페이로 Audio-re 를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카오페이 특성상 입금자명을 제외하곤 드러나는 정보가 없어, 익명을 고집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감사 인사를 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후원 후 제가 감사 인사를 드릴 수 있게 Kakao ID : seyun0915 또는
메일 주소 tpdus0915@naver.com 으로 연락 남겨주시면, 꼭 인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곧 이 연사님의 강연을 들을 기회가 생길 것 같아서 정말 기대됩니다.
Genelec 8341A와 해당 라인업의 다른 대형 스피커들을 리뷰해 주시겠어요?
네, Audio-re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enelec 8341A 또한 측정했고, 데이터를 갖고 있습니다.
추후 예정된 스피커들 리뷰를 게재하고서 그 이후에 게시하겠습니다.
컴프레션 96 데시벨에서 kef 레퍼런스 시리즈보다 수치가 좀 튀는거 같네요
에린의 오디오에서 봤을때도 저랬었나
아직 원인은 발견하지 못했지만, 경험적으로, 컴프레션 수치가 매우 낮은 경우 – 가끔 Klippel MTON 모듈에서 저렇게 에러가 나타나더라구요.
이참에 프로젝트 파일을 다시 살펴보며 원인을 분석해보겠습니다.
고우돌이가 아닌이상 느낄수 없는 내용들이군요.
역시나 직접 가서 들어보는수밖엔…